[한반도 브리핑] 심각한 식량난 와중에…北, 열병식으로 한미 위협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다시 정리해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베이징 특파원과 연합뉴스 북한부를 거쳐 현재 국제 분야를 맡고 있는 이봉석 기자 나와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먼저 주요 이슈부터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오늘은 북한의 열병식 소식을 중심으로 전해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예상대로 군 창건 75주년을 기념해 야간 열병식을 개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신형 고체연료 ICBM을 공개했고, '괴물 ICBM' 화성17형도 11기나 등장시켰습니다.<br /><br />ICBM이 미국을 겨냥한 것이라면 북한이 소개한 '전술핵 운용부대'는 대남 위협으로 평가됐습니다.<br /><br />각종 이벤트와 다양한 무기를 동원한 열병식에 대해 우리 정부와 국제인권단체들은 식량난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이달 말 이례적으로 농업 문제를 논의하는 전원회의 개최를 예고할 정도로 식량난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열병식에서 또다른 주인공은 김정은 위원장의 딸 김주애였습니다.<br /><br />김주애가 예사롭지 않은 행보를 보이고 그에 대해 위상이 높아진 수식어가 붙어 한동안 잠잠했던 후계자설이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선 북한 열병식 행사 얘기부터 해보시죠.<br /><br />작년 4월에 이어 10개월 만에 개최하는 건데, 작년과 비교해 행사 규모는 어땠고 특징은 뭐가 있을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열병식은 수요일 밤에 열렸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건군절이라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군 창건 75주년을 맞아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열병식은 식전행사를 포함해 8시 반쯤부터 2시간여 동안 진행됐는데요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은 열병식에 참석했지만, 예상과 달리 연설은 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은 할아버지 김일성 전 주석이 즐겨 입었던 검은 중절모와 코트 차림이었는데요.<br /><br />전체적인 열병식 규모는 북한이 60개 열병종대가 참가했다고 밝혀 72개 종대, 2만여 명이 참여한 작년보다 다소 축소됐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정권 들어 북한이 공개하는 영상들이 많이 세련되게 바뀌었다는 평가를 받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열병식 식전행사 영상도 어느 때보다 화려해졌습니다.<br /><br />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, 석양을 배경으로 군인들의 모습을 보여준다든지, 칼을 클로즈업해서 보여준다든지 하는 모습은 영화 탑건 등 할리우드를 모방해 연출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하이라이트는 우리의 공수부대에 해당하는 항공육전병들이 전투복에 LED 조명을 달고 고도 4,500m에서 스카이다이빙을 하는 모습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4명의 항공육전병들이 4인조 모음형을 짓고 있습니다. 4인조 모음형에 4명의 항공육전병들이 한 명씩 접근하면서 8인조 원형을 짓고 있습니다. 8인조 원형 중심으로 접근한 항공육전대 조장이 대담하고 민첩한 기교동작으로 직경 2.4m의 원 중심을 통과하며…."<br /><br />항공육전병들이 광장에 착지하자 군중은 환호성을 보냈고, 김정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, 딸 주애는 내부 연회실에서 간부들과 TV로 지켜봤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열병식에서 어떤 무기들을 선보였나요. 특히 ICBM을 무더기로 등장시켰다면서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이 열병식에서 선보인 무기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고체연료 ICBM으로 추정되는 신형 미사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쪽에 9개씩 18개의 바퀴가 있는 이동식 발사대에 실려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이에 따라 ICBM의 길이는 20m 안팎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작년 12월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 참관 아래 고출력 고체연료 로켓엔진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추력이 140톤포스(tf), 그러니까 연료 연소에 따른 반동으로 밀어올릴 수 있는 중량이 140t에 달한다면서, 이 엔진을 사용하는 ICBM 개발을 시사했는데, 이번 신형 ICBM에 이 엔진을 사용했거나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북한이 열병식 때 신무기 모형을 공개하고 실제 개발해 시험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, 이르면 올해, 늦어도 내년에는 실제 시험발사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사거리가 약 1만5천㎞로 '괴물 ICBM'으로 불리는 화성-17형을 무려 11기나 등장시켰습니다.<br /><br />작년 열병식 때 4기에서 대폭 늘어난 건데요. 미국에 대한 위협 목적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 "기존에 있는 괴물 ICBM인 화성-17형뿐만 아니라 고체엔진을 사용하는 신형 ICBM으로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로 보여집니다."<br /><br />화성-17형의 무더기 등장은 양산 단계에 들어갔음을 과시한 것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외신들은 화성-17형이 핵탄두 4개까지 탑재 가능한 다탄두 미사일이라면 ICBM 요격 미사일 총 44기를 보유한 미국을 무력화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전술핵운용 부대가 열병식에 나왔다고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이 부대는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KN-23과 초대형 방사포를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둘 다 대남 무기라는 점에서 남한에 대한 전술핵 공격 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결국 이번 열병식은 남한과 미국에 대한 동시 위협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이번주에만 두 차례나 등장했는데, 후계자설이 재점화되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김주애는 군 창건 기념일을 하루 앞둔 지난 화요일 김정은 위원장이 군 장성 숙소를 찾았을 때 동행했고요.<br /><br />수요일 열병식 때도 김정은 위원장, 어머니 리설주 등과 함께 지켜봤습니다.<br /><br />여러 장면이나 바뀐 수식어를 통해 김주애의 입지가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열병식 행사장에 들어설 때 리설주는 다소 떨어져 걸었지만, 김주애는 김정은 위원장 오른쪽에서 나란히 걸었습니다.<br /><br />본 행사 때는 리설주, 당 비서들과 귀빈석에 자리했다가 김정은 위원장이 잠깐 불러내자 주석단 중앙에 서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김주애가 주민들에게 우상으로 추앙받는 아버지 김정은 위원장의 뺨을 쓰다듬는 모습도 자주 ...